[NewsLetter] 견고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팁 (+ 12건)
서비스 운영 및 인프라 관리에 대한 조언과, 배포 전략
November 1, 2016
-
4 minute read
-
조직문화
수평적인 조직
에 대한 해석이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.
- 모든 직원이 평등하다는 의미가 아니라, 직급/나이/경력이 아닌 전문성을 바탕으로 (자율적으로)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
- 아래 글과 같이 생각하면 수평적인 조직을 이룰 수 있는 사람들만 채용해야 합니다
- 글 자체는 정리가 좀 덜 된 편입니다.
- 하지만 공감 가는 문장이 좀 있네요.
- 직장인에게 최고의 복지는 팀 동료
-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문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, 그렇게 어울릴 수 있는 사람을 뽑아야 한다. == 인사(채용)이 무엇보다 중요함
개발 관련
- 서비스 운영 및 인프라 관리에 대한 훌륭한 통찰력이 포함 되어있습니다.
- 특히 배포 시간에 대한 기준이 저희의 상식 (업무시간 이후, 새벽)과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눈 여겨 볼만합니다.
- 내용을 요약하자면 (일부 공감 가지 않거나, 적용이 필요 없을 것 같은 내용은 제외 하였습니다)
- 하나의 소스 트리로 여러 국가 서비스가 가능해야 함
- 클라우드 서비스 적극 활용 (PaaS로 생각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)
- 개발자는 운영 서버, 운영 DB에 접근하지 못함 (보안 측면도 있지만,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음)
- (운영 DB 접근을 못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서) 좋은 모니터링 체계 구축
- 배포는
근무 시간
중에만
- AWS IoT와 Lambda + LINE Message API를 사용해서 버튼을 누르면 메신저로 “문열어 주세요” 라고 입력이 되도록 만든 사례입니다.
- 이런 프로젝트를 진행을 하고, 사례를 공유하는 사내 분위기가 좋아 보입니다.
- 그리고 이런 기술 블로그를 외부에 공유하는 것 자체가
회사에 대한 마케팅 효과
로 ROI가 무엇보다 크다라고 생각하구요.
- 개인적으로 LG도 “사랑해요 LG”라는 감성에 호소하는 것 보다, 괜찮은 개발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술 공유와 공개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
- 최근 회사에 지원하는 SW직군 후보자들에 대한 면접을 보면서, 면접 질문을 어떻게 던져야 하나 고민을 했었는데 훌륭한 참고 사례라고 생각합니다.
- 기술적인 질문과 더불어 전반적으로 업무 센스와 영어 독해 능력, Linux 사용 경험 등을 묻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.
- 예) alz로 압축을 하거나, hwp로 문서를 작성하여 외국에 전송하면 안 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.
- Github의 기능 업데이트 내용입니다. (역시 Github 짱)
- protected branch에 merge 되기 전에 반드시 review를 해야만 진행 가능하도록 설정 가능
- 파트 내부적으로도 Code Review를 활성화 하고, 가능한 Process 적으로 강제를 하려고 시도 중인데, Tool 적으로 지원이 되는 것은 무척 환영할 일이라고 봅니다.
- 파일 단위가 아니라, 파일 내의
변경사항 단위
로 Commit을 하면 장점이 많습니다.
- 누구나 늦지 않았습니다.
- 저도 바로 이 글을 보기 전까지 git add –a를 썼던 잘못된 개발자입니다.
- 특히나 동일 파일을 여러 명이 서버에서 같이 수정하는 경우에는 더더욱 필수 입니다.
- 파이썬에 관심이 있었는데 기회가 없었던 분들은, 꼭 보세요 두 번 보세요.
- 800페이지 가량인데 한페이지 한페이지가 속도감있게 넘어갑니다.
- C언어 난독화 코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글 입니다.
- 가끔 Code Golf 등을 보면 이해할 수 없는 코드들을 마주하게 되는데, 해당 코드들을 읽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.
- 개발자가 봐도 이해가 가능하고 납득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너무 잘 정리된 글입니다.
- 주변 UI 개발자들에게 공유해주고 싶은 내용이네요.
기타 읽을 거리
- 가볍게 읽을 수 있는데, 해당 기법을 모두 몸에 익혔을 때의 효과는 실제로 엄청날 것 같습니다.
- 그런데 문제는 모든 참석자가 이렇다면… 끔직합니다.
- 4분짜리 동영상인데 흥미 진진합니다.
- 특히 아래 질문을 통해서 면접관 우려를 파악해서, 즉시 자신감 있는 대안을 대답할 수 있다면 유용할 것 같네요. (영상을 보면 어떻게 써먹는지가 나옵니다)
- 초당 1000회로 표면을 감지해서 프로젝션할 내용을 바꾸는 다이내믹 프로젝션 기술 데모 영상
- 표면을 빠르게 움직이거나 늘여도 내용이 매우 자연스럽게 바뀌는데,
- 눈에 보이지 않는 마커가 새겨져 있다고 하네요 (그래도 대단함)